전체 글69 비행원리 지면효과(Ground Effect)란 무엇인가? 비행을 하다보면 항공기가 땅에 가까워 지면서 항공기가 더이상 강하하지 않는 현상을 보입니다. 이런 현상을 지면효과(Ground Effect)라고 합니다. 지면효과에 관련해서는 아래 동영상을 한번 보시죠. Glider Ground Effect - 출처 : Martin Orchard''s Youtube 위의 동영상처럼 조종사가 추가 조작을 하지 않지면 항공기가 지면에 가까워진 다음 계속해서 활주로를 따라서 비행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지면효과의 정의와 원인, 조종사의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면효과란 무엇인가? 지면효과란 항공기가 지면가 가까워 질 때 항공기가 침하하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유는 항공기 날개 주변의 공기흐름이 양력을 더 발생하도록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항공기가.. 2021. 7. 23. 헬리콥터 조종사 되는 법(육군 항공 준사관) 하늘에는 민항기뿐만 아니라 헬리콥터도 많이 있습니다. 민항기 조종사가 되는 길은 과거에 비해 많이 알려졌지만 헬리콥터 조종사가 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헬리콥터 조종사가 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군에 입대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군을 제외한 소방, 산림청, 해양경찰 등은 비행시간 1000시간 이상을 요구하는데 군을 제외하고 현실적으로 헬리콥터 1000시간을 비행하기는 어렵습니다. 공군, 해군에도 헬리콥터 조종사가 되는 방법이 있지만 그중에서 오늘은 육군 항공 준사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육군 항공 준사관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잘 모르지만 육군에도 항공기가 있습니다. 다만 공군, 해군과 다르게 회전익 항공기(헬리콥터)만 가지고 있습니다. 아파치, 수리온, UH-60 같은 헬리콥터를 가지고 .. 2021. 7. 21. 아시아나 마일리지 대한항공 전환 계획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이 산업은행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통합 기간은 2년으로 보고 있으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를 통합해서 하나의 FSC(Full Service Carrier)를 만들고, 각 회사의 저가항공사인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도 통합한 하나의 LCC를 만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자료에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대한항공 마일리지로 전환하는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현재 누적 마일리지 규모는 대한항공이 2조 5000억, 아시아나 항공이 8415억원 규모로 마일리지 전환은 양사 모두 민감한 사항입니다. 탑승 마일리지 1:1 전환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대한항공 마일리지로 전환 논의 결과 항공기 탑승 마일리지는 1:1 전환으로 가닥을 잡은 것 같습니다. 아시아나의 노선.. 2021. 7. 21. 플랩(Flap)의 원리와 필요성 비행기를 타실 때 날개를 보신 적이 있나요? 이륙 또는 착륙을 할 때 항공기 날개가 변신하는 모습을 보셨을 텐데요. 이 장치 중 하나가 바로 플랩(Flap)입니다. 날개 뒷쪽에 붙어있는 부분인데요. 오늘은 플랩이란 무엇이고 플랩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랩이란? 플랩(Flap)이란 다른 말로는 고양력 장치(High-lift device)라고 합니다. 항공기를 하늘로 부양시키는 힘을 양력(Lift)라고 하는데요. 플랩은 날개의 모양을 변경시켜서 더 많은 양의 양력을 만들어 내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위로 올라와 있고, 필요할때는 하는 플랩을 내려서 사용합니다. 조종석에서 조종사가 플랩을 어느 정도 쓸 것인 결정할 수 있습니다. 플랩이 필요한 이유? 비행기에서 이런 플.. 2021. 7. 1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